::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
 
 
 

 

조선왕조의 수명!

김규환 (대전광역노회,대전중원교회,장로) 2012-12-08 (토) 00:50 11년전 7620  
▷ 창세기 47장 8절~10절에 "바로가 야곱에게 묻되 네 연세가 얼마뇨 야곱이 바로에게 고하되 내
    나그내 길의 세월이 일백 삼십년이니이다. 나의 연세가 얼마 못되니 우리 조상의 나그네 길의
    세월에 미치지 못하나 험악한 세월을 보내었나이다 하고 야곱이 바로에게 축복하고 그앞에서
    나오니라" 따라서 인생은 나그네의 삶입니다. 28대까지 이씨조선의 왕들의 수명과 사망원인을
    열거하여 현대의 우리 기장 성도들에게 참고가 될것으로 보고 기술해봅니다.
 
◈ 제1대 태조
    청심환을 다 삼키지못하고, 중풍으로 74세에 승하(아들 태종과의 마찰로 인한 홧병도 그원인중
    하나 ) 능은 건원릉 동구릉안에 있음
 
◈ 제2대 정종   
    오복(수,부,강년,유호덕,고종명,)을 다 갖추고 63세에 승하(상왕으로 물러난후 편안하게 살면서
    가장많은 자식을 둔 왕임) 조선역대왕중 유일하게 북한에 있는 후릉(경기도 판문군영정리)
 
◈ 제3대 태종
    상왕으로 물러난후 태종은 폐렴으로 56세에 승하 부인민씨도 학질로 56세에 졸 능은 헌릉
 
◈ 제4대 세종
    대식가로 인한 당뇨병으로 54세에 승하 (고기를 매우즐긴왕) 식단에 항상 고기가 있었음.
    그래서 종기가 많이 생겼고 여러 부인을 둔 만큼 성병도 있었다고함)
    소형왕후 심씨와 합장함으로써 조선 최초 합장릉 (능은 영릉)
 
◈ 제5대 문종
    등창으로 39세에 승하, 아버지 세종을 닮아 몸이 허약했음(능은 현릉)
 
◈ 제6대 단종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으로 17세때 서인(노산군)으로 감봉되어 영월 청령포에서 사사됨
    그러나 숙종때 단종으로 복위됨. 능은 장릉
 
◈ 제7대 세조
    악업으로 악성피부(나병)병으로 불면증과 악몽으로 52세에 승하(능은 광릉)
 
◈ 제8대 예종
    20세에 복상사하여 승하한 보기드문 이변사례임, 안순왕후 한씨 정사를 즐기다 승하했으며
    형 의경세자(성종의 아버지 덕종) 도 20세에 급사(능은 창릉)
 
◈ 제9대 성종 
    등창과 폐렴으로 38세에 승하 슬하에 28명의 자식을 두었으며 주색을 줄긴 왕으로 임진왜란
    때 왕릉이 파혜처지고 재궁이 불에 태워지는 수모를 겼는다.(능은 선릉) *카사노바형
 
◈ 제10대 연산군
    중종반정으로 왕위에서 물러난후 강화도로 유배 강화도에서 괴질로 31세 졸
    아들 넷은 강화도에서 사사됨(묘는 서울 방학동)
 
◈ 제11대 중종
    거머리로 등창을 치료하다 울화병과 노환으로 57세에 승하 (제위39년) 능은 정릉
 
◈ 제12대 인종
     이질로 31세에 승하 (문정왕후에 의한 독살설도 있음)하늘이 낳은 효자로 알려져 있으며
    후사는 없다, 능은 효능
 
◈ 제13대 명종
    지나친 방사로 34세에 승하 문정왕후의 아들로 마마보이로 성장하였으며 무수리출신 장씨와
     지나친 방사로 인한 졸지에 승하 (어머니 문정왕후로부터 회초리도 맞았다고 함) 능은 강릉
 
◈ 제14대 선조
     임진왜란이후 중풍으로 57세에 승하 영조다음으로 41년간제위 능은 목릉
 
◈ 제15대 광해
    역대왕중 가장 불운한왕, 인조반정으로 물러난후 유배 그뒤 십수년을 더살다가 제주도에서
    67세로 졸 (유배생활중 시중드는 사람이 영감이라고 불러도 긋긋하게 견디었다함)
    이때 일본서 담배들어옴
 
◈ 제16대 인조
    청나라에게 항복후 홧병걸림, 신하들 손아귀에서 울화병으로 55세에 승하 아들 소현세자를
    독살한 왕으로 의심되며 재위중 늘 그것때문에 신하들에게 시달림(능은 장릉)
 
◈ 제17대 효종
    봉림대군 수전증 있는 어의의 실수로출혈을 못막아 출혈사로 41세에 승하 , 강한 의지와 북벌
    정책을 마무리 하지못하고 승하했음(능은 영릉)
 
◈ 제18대 현종
    청황제로 부터 벌금형을 받은 수치를 당한왕으로 학질과과로로 31세에 승하 하멜에 의해
    최초로 조선이 유럽에 알려지기시작했음(능은 승릉)
 
◈ 제19대 숙종
     어릴때 천영두 후유증과 노인병,등창,심한 당파싸움으로 인한 스트레스등으로 60세 승하
     인현왕후,장희빈과의 문제도 있었을듯,풍류을 즐겼던 숙종은 봄이면 300여 후궁을 거느리고
    큰잔치를 별었다함,능은 명릉
 
◈ 제20대 경종 
    게장을 먹다 급사하여 37세에 승하 설화로 장희빈이 사약을 받기전 아들을 보게 해달라고
    하자 거절하다 인정에 끌려 세자를 데려오자 갑자기 경종의 하초을 잡아당기여 성기능을
    잃어 내시와같았다함, 능은 의릉
 
◈ 제21대 영조
   역대왕중 장수하였으며 치매로 83세에 승하 세자를 폐위하여 서인으로 강등한후 뒤주속에
   가두어 굶겨죽게한 일과 노망부린것이 오점으로 남았으며 일본서 처음 "조엄"이 고구마를
   가져왔음, 능은 원릉
 
◈ 제22대 정조
    역대군주중 개혁적인 군주로 사도세자(장조)의 아들, 등창으로 49세에 승하(독살설도 있지만
   최근자료로 보아 등창으로 승하한것이 맞다고봄, 안경을 처음쓴임금, 능은 건릉
 
◈ 제23대 순조
    매독3기로 45세에 승하 이떄 조선은 콜레라가 창궐하였으며 안동김씨 세도가 시작됨 능은 인릉
 
◈ 제24대 헌종
    23세에 주색에 빠저 보내다가 폐결핵으로 승하, 능은 경릉
 
◈ 제25대 철종
    잘알려진데로 세도정치에 의해 졸지에 왕이됭 강화도령 33세 폐결핵으로 승하,
    강화도를 그리워하며 안동김씨 그늘에서 숨도 못쉼( 능은 예릉)
 
◈ 제26대 고종
    근대사에 잘알려진 왕으로 (명성왕후때) 일제에의해 황제자리에서 물러난후 1919년 일제
    에 의해 독살되어 67세에 승하한 한이 많은 왕임, 능은 흥릉
 
◈ 제27대 순종
    명성황후의 아들로태어나 험난한시절에 몸이 허약했고 남선구실을 제대로 못하였다함
    1926년 일제시절 라디오 들으면서 심장마비로 53세에 승하, 능은 유릉
 
◈ 제28대 의친왕
    역대왕중 유일하게 독립운동을 했던 고종의 아들, 순종의 동생. 영친왕의 형으로 그의
    아들 이우왕자가 언짱왕자로 유명하였으며 현재 의친왕의 아들과 손자들이 다수 생존
    하고 있으며 1955년에 6,25전쟁중에 걸린 영양실조로 79세에 서거, 묘는 홍유릉 내의 의친왕묘
    (합장묘임)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의,로 끝나는
    1대부터 28대까지는 매듭을 짖고 마지막으로
 
◈ 의민 황태자 영친왕
     어릴때 일제에 볼모로 잡혀간 비운의 황태자이다, 최근세인 1963년(5,16때) 뇌혈전증으로
    귀국해 7년간 외로운 병실에서 투병하시다가 1970년 (42년전) 74세의 나이로 한많은
    생을 마감함, 그러나 왕비인 이방자 여사는 국내에서 자선활동을 하다가 1989년 서거함
     능은 홍유릉 내의 영원(합장묘)
 
 
                                              ▶ 이상은 옮겨온글입니다!
 
 
▷ 조선왕조의 평균수명은 48세이고 60세이상은 정식왕으로써는 4분에 불과 구중궁굴내 제왕도
    세월앞에 허망한 생각이듭니다!, "천상천하유아독존" 으로 각자의 삶도 중요하지만 국가관,종교관
    사회공동체,가정은 더욱중요합니다, 특히 우리교단내의 나눔과 섬김 남을 배려하는 포용력
    이모두가 우리교단발전을 위해서는 절실히 필요한 과제 입니다, 정상의 지도자는 항상정상을
    유지할수는 없습니다!, 세월따라 세대는 바뀌지만 우리기장교단은 어려움속에서도 정의추구면
    에서영원 할것으로 굳게 믿습니다,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츲ҺڻȰ ⵵ ȸ ѱ⵶ȸȸȸ ()ظ ѽŴѵȸ μȸڿȸ ȸ б ѽŴб ûȸȸ ŵȸ ŵȸ ȸÿ ѱ⵶ȸȸͽ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