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
 
 
 
이준원

폴 틸리히 / 궁극적 관심 Ultimate Concern 1) Preface 서문 (원문/번역)

이준원 (충북노회,우암교회,목사) 2013-11-01 (금) 09:01 10년전 7539  
http://www.religion-online.org/showbook.asp?title=538
(윗 링크를 누르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Ultimate Concern -
Tillich in Dialogue by D. Mackenzie Brown
궁극적 관심
대화로 만나는 폴 틸리히- 맥켄지 브라운

 
 
Donald Mackenzie Brown is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 Santa Barbara. This book was published in 1965 by Harper & Row, Publishers. This book was prepared for Religion Online by Harry W. and Grace C. Adams.
 
Preface
머 리 말 
 
This book is a record of a seminar with Paul Tillich, considered by many to be the most profound if not the most influential theologian of this century. The discussions took place in the Spring of 1963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The seminar was restricted to eighteen senior and graduate students selected from a variety of disciplines ranging from philosophy, religion, and psychology to mathematics, biology, and political science. The editor served as chairman of each session. Visitors at the different meetings included other faculty, students, and, on occasion, clergymen of different denominations. These visitors were necessarily limited because the seating capacity of the seminar room was twenty-four.
No attempt is made to identify any of the participants with the exception of Dr. Tillich. Comments or questions after the heading "Professor" are those of the editor or other faculty present.
Each meeting was tape recorded. The recordings have been edited to eliminate extraneous or repetitious material, to clarify certain passages, and to supply notes on various terms or references to be found in the discussions. The result is, I believe, a fair and accurate presentation of the Seminar.
 
이 책은 20세기에 있어서 영향력이 가장 큰 신학자는 아닐지 몰라도 가장 깊이 있는 신학자로 지목 받은 폴 틸리히(Paul Tillich)와 함께 세미나를 가진 기록이다. 이 세미나는 1963년 봄 산타 바아바라에 있는 캘리포오니아 대학교에서 열렸다. 여기에는 18명이라는 제한된 인원이 참석하였는데 그들은 모두 철학, 종교학, 심리학, 수학, 생리학, 정치학 등 여러 분야에서 선발된 학부의 졸업반 및 대학원 학생들이었다. 편집자는 시간마다 의장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모임을 거듭하는 동안 교수들, 학생들, 그리고 여러 교파에 속한 목사들이 찾아 주었다. 세미나 교실에 의자를 24개 이상 수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연히 손님들을 제한할 수 밖에 없었다.
틸리히 박사를 제외하고는 참가자들의 이름을 여기서 밝히지 않았다. ‘교수’라고 한 말머리에 따른 코멘트나 질문들은 편집자나 또는 참석했던 교수에게서 나온 것이다.
세미나를 개최할 때마다 녹음하여 두었다. 그것을 편집하면서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것은 잘라 버리기도 하고, 어떤 귀결에서는 뜻을 밝히기도 하였으며, 여러 가지 술어와 참조에 관하여 해설을 붙이기도 하였다. 그 결과 세미나가 공정하고 정확하게 보고될 줄로 믿는다.
 
The original tentative focus of the inquiry was upon the problems raised by the contemporary encounter of major religious systems: Catholic, Protestant, Jewish, Islamic, Buddhist, Hindu; and the quasi-religious movements: Nationalism, Socialism, Fascism, Communism. It quickly became apparent that problems of this nature could not be approached without a thorough understanding and a consensus as to the meaning and nature of Tillichian terms and concepts.
최초의 연구 과제는 현대에 있어서 위대한 제 종교 체계 사이의 만남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에 그 초점을 두었다. 여기서 종교 체계란 카톨릭, 프로테스탄트, 유대교, 불교, 힌두교를 위시해서 국가주의, 사회주의, 파시즘, 공산주의라고 불리는 유사 종교 운동(the quasi-religious movements)까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을 지닌 문제는 틸리히가 쓰는 용어와 개념의 의미와 특색에 대하여 철저한 이해와 찬동 없이는 논의될 수 없음이 곧 밝혀졌다.
 
Although all members of the seminar had done extensive reading and study of Tillich’s writings, his definitions remained obscure in some minds or, even when apparently understood, were vigorously challenged. This led to an open discussion throughout the seminar so that the dialogues returned over and over again to fundamentals even while the general movement of discussion attempted to deal with contemporary problems of the great religious and quasi-religious movements. This freedom to question informally every premise of Paul Tillich resulted, I believe, in a fuller comprehension of religious terms and values than any formal agenda would have permitted.
세미나의 참가자들이 모두 틸리히의 글을 사전에 널리 읽고 공부하였지만 그가 내린 정의가 어떤 이에게는 아직 모호한 채 남아 있었고, 분명하게 이해되었을 경우에는 과격한 도전을 받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여건 때문에 토의 진행이 일반적으로 위대한 종교 운동 및 유사 종교 운동의 당면 문제를 취급하여 가면서도 세미나 전체를 통하여 자유 토의가 계속되었고, 따라서 대화는 거듭해서 근본 문제로 되돌아가곤 하였다. 이렇듯 폴 틸리히의 모든 전제(premise)를 비공식적으로 물을 수 있는 자유 때문에 어떠한 공식적인 계획이 줄 수 없는 종교적 술어와 가치에 대한 폭 넑은 이해에 도달하게 되었다고 믿어진다.
Dr. Tillich has read the manuscript to verify the accuracy of statements attributed to him. I very much appreciate the time he has given to this task. I am also indebted to Miss Catherine McKean, a student member of the seminar, for her assistance in transcribing the recordings, to Professor Richard Comstock of the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for his perceptive criticism of the manuscript, and to Cheever M. Brown, student member of the seminar, for contributing the introductory biographical chapter on Tillich.
The bibliography contains all major works of Paul Tillich available in English as well as all major publications in English concerning his religious ideas.
 
틸리히 박사는 자기 발언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원고를 손수 읽어 주셨다. 이 일을 위하여 그가 시간을 내어 주신 것에 대해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또한 세미나의 학생으로서 녹음한 것을 문자화한 캐더린 매킨 양, 원고에 관하여 예리하게 비판하여 준 본 대학교 종교학과의 리처드 콤스톡 교수, 세미나의 학생으로서 틸리히의 전기를 서론격으로 기고한 취이버 M. 브라운 군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
저서의 목록은 영어로 출판된 폴 틸리히의 주요 저서 전부와 그의 종교 사상에 관하여 영어로 출간된 서적 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D.M.B.
Santa Barbara
January 21, 1965
 
산타 바아바라
1965년 1월 21일
D. 맥켄지 브라운
 

 
Introduction -- Paul Tillich: "A Pervasive Sense of Joy"
폴 틸리히의 생애  ‘스며드는 기쁨’
 
 
During the weeks of the seminar which this book presents, one quality in Paul Tillich’s teaching was especially evident. He maintained throughout the attitude of a fellow searcher after truth, never that of the pedagogue. It was as though each student had some unique experience or insight which Dr. Tillich considered vital to know. He was never so pleased as when he was contradicted and a new viewpoint or an unfamiliar fact was presented to him.. Needless to say, instances of successful contradiction were rare indeed.
No account of Tillich’s life can quite explain the enormous influence he has exerted on contemporary religious thought, but such accounts do show the depth and breadth of his experience. He was born in Prussia in the year 1886, five years after the death of Fedor Dostoevski. This fact may seem especially noteworthy, until one considers that much of Tillich’s life has been a fight against Dostoevski’s Grand Inquisitor "History has shown," says Tillich, "that the Grand Inquisitor is always ready to appear in different disguises, political as well as theological." And so he has constantly been on the lookout for authoritarian systems which threaten to stultify the life of the individual.
여러 주간에 걸친 세미나에서 폴 틸리히의 독특한 교수 방법이 현저하게 드러났다. 그는 시종여일하게 가르친다는 태도가 아니라 진리를 함께 탐구하는 동료로서의 태도를 견지한 것이다. 그것은 마치 학생마다 자기 나름대로 알아 두어야만 할 어떤 특수한 경험이나 통찰력을 가지고 있음을 전제하는 것 같았다. 그는 어느 누가 그를 반박하거나 새로운 관점과 낯선 사실을 제시하여 줄 때처럼 기뻐한 적은 없었다. 두말 할 필요도 없이, 반대의 입장이 성공한 적은 별로 없었다.
우리가 틸리히의 생애를 더듬어 본다고 하여도 그가 현대 종교 사상에 끼친 거대한 영향을 십분 설명해 낼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그의 경험의 깊이와 넓이를 찾아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는 도스토예프스키가 서거한 지 5년째 되던 1886년에 프러시아에서 태어났다. 이 사실은 특별히 주목할 만한 일이 아닌 것 같지만, 틸리히가 일생의 태반을 바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종교 재판관(Grand Inquisitor)과 싸웠다는 것을 고려하여 보면 문제는 달라지는 것이다. 틸리히는 말하기를 “역사는 종교 재판관이 언제나 정치적으로, 신학적으로 변장하고 나타날 준비가 갖추어져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하였다. 그러기에 그는 개인의 생명을 짓밟는 권위주의적 조직들에 대하여 끊임없이 경계하였다.
 
Tillich’s reaction against authoritarianism in his own life can probably be explained in the light of his early years.
He was brought up in the small town of Schonfliess in eastern Germany. The town was medieval, surrounded by a wall, which symbolized for Tillich the narrowness and restrictedness of his environment. Perhaps more important, his father was a conservative Lutheran minister who tried to wield authority over Tillich’s way of thinking as well as his actions. In nature Tillich found his first escape, his first freedom as an individual. Through his "mystical participations" in the woods and the fields, he felt he was experiencing the Christian’s liberation from bondage which had been Christ’s message. In the year 1900 Tillich moved with his family to Berlin and found a new freedom in the openness of a great city. When he attended the University there, the academic life encouraged individualism and he felt an intellectual autonomy for the first time.
틸리히의 어린 시절을 더듬어 보면, 그가 일생 동안 권위주의에 항거한 이유가 설명될 듯싶다. 그는 동부 독일에 있는 쇤 플리스(Schӧnfliess)의 작은 마을에서 자랐다. 그 마을은 중세기적이었고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것이 틸리히에게는 분위기의 협소와 제한성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모름지기 보다 중요한 것은, 그의 아버지가 보수적인 루터교 목사로서 틸리히의 생각과 행동을 권위로 통제하려고 했던 것이다. 틸리히는 자연 속에서 첫 번째 탈출구 곧 개인으로서의 자유를 발견하였다. 그는 숲과 들을 거닐면서 자연의 신비 속에 직접 참여하게 되었고 거기서 그리스도의 메시지인 속박으로부터의 자유를 몸소 체험하였다. 1900년 틸리히는 가족들과 함께 베를린으로 이사하여 개발된 대도시 속에서 새로운 자유를 호흡하게 되었다. 그가 거기서 대학을 다닐 때 학구적인 생활은 그에게 개인주의를 북돋우어 주었고, 처음으로 지성과 자율성을 실감 나게 해 주었다.
 
Yet it must not be thought that Tillich was a complete revolutionist. He has often been called a romanticist. As noted, his romanticism involved nature, but it was also concerned with history. He has always revered history "as a living reality in which the past participates in the present." In spite of his early criticism of the nineteenth century, of which he was a part, he sometimes looks back to it with nostalgia for the intellectual freedom he remembers. One might say that his life work has been to restore the Western individual’s relation to his tradition by pointing to the timeless elements in that tradition which have been unwittingly rejected by contemporary man — rejected along with those dogmas which science and technology have made unacceptable. In this sense he is a conserver rather than revolutionist.
그러나 틸리히는 철저한 혁명주의자는 아니었다. 그는 낭만주의자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그의 낭만주의는 자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역사에까지 관심을 두었다. 역사는 “과거가 현재에 참여하는 살아 있는 실재”라고 하면서 그는 역사를 존엄시한 것이다. 일찍이 그는 19세기에 대하여 비판을 퍼부었지만, 그는 그의 뇌리 속에 살아 있는 지성의 자유에 대한 향수에 사로잡혀 19세기를 회상하곤 하였다. 그는 현대인이 무지각하게 내동댕이친 전통 속에 담겨 있는 무시간적 요소를 지적해 냄으로써 서양인 각자와 전통의 관계를 회복하는 일을 일생의 과제로 삼았다고 말하여 좋겠다. 이러한 뜻에서 그는 혁명주의자라기보다는 차라리 보수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World War I marks the end of what Tillich calls his preparatory period. There occurred then what he considers a personal kairos: during one terrible night of the battle of Champagne, in July of 1916, he witnessed the suffering and death of hundreds of casualties in the division in which he served as chaplain. The horror of that night, during which he lost some of his friends, never left him, and the whole structure of classical idealism under which the war had taken place was shattered. After the war he was engrossed by the new political movements in his defeated nation and has since maintained a keen interest in "religious socialism."
세계 제1차 대전과 함께 틸리히의 이른바 준비 기간은 종지부를 찍는다. 그리고 그가 말하듯이 개인적 카이로스(a personal kairos)라는 때가 시작된다. 즉 1916년 7월 샹파뉴(Champagne) 전투가 극도에 다다른 어느 날 밤, 그가 군목으로 복무하고 있던 사단에서 수백 명의 전사자와 부상자를 목격하게 되었다. 몇몇 친구들까지 잃어버린 그 전율의 밤은 그의 기억에서 가시지 않았다. 그리고 그 전쟁을 뒷받침한 고전적 이상주의의 구조 전체는 산신이 부서지고 말았다. 그는 전쟁이 끝나자마자 그의 패전국 테두리 속에서 새로운 정치 운동에 연정을 쏟았고 계속하여 ‘종교 사회주의’(religious socialism)에 대하여 예리한 관심을 두게 되었다.
 
From 1919 to 1933, Tillich wrote all of his German works. During this time he taught at several universities throughout Germany. In 1933 he was forced by Hitler to leave and came to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efforts of Reinhold Niebuhr he was invited to join the faculty of Union Theological Seminary, and it was there that he found a stimulating and sympathetic environment to further develop his ideas. Union Seminary not only provided an introduction to American life but, situated in New York City, became the crossroads for theologians from all over the world. Tillich retained his interest in European society through his contacts with fellow German refugees. At the same time, he was excited by his vision of the New World. He delighted in the American courage to risk failure and remain open to the future.
틸리히는 1919년에서 1933년까지 독일어로 인쇄된 책들을 모두 저술하였다. 이 기간 중에 그는 독일에 있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하였다. 그는 1933년 히틀러에게 추방당하여 미국으로 건너왔다. 라인홀드 니이버(Reinhold Niebuhr)의 주선으로 유니온 신학교의 교수로 초빙된 것이다. 그는 거기서 거의 사상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자극적이고 동정적인 분위기에 접하게되었다. 유니온 신학교는 그에게 미국 생활을 소개하여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뉴우요오크 시에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세계의 신학자들이 만나는 교차로도 되었다. 틸리히는 독일에서 건너온 피난민들과의 접촉을 통하여 유럽에 대한 관심을 지속하였다. 이와 함께 그가 본 신대륙에 대한 비전 때문에 그는 흥분에 차 있었다. 그는 실패를 모험하며 미래에로 개방하는 미국 사람들의 용기를 보고 크게 기뻐하였다.
Tillich reflects Kierkegaard (who greatly influenced him during his student years at the University in Halle) in stressing the need for each individual to confront his existence alone, in the inwardness of his soul. Man’s fulfillment must be found through his own inner courage and vision.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uman existence — "What am I?" — can only be answered by one who asks the question.
틸리히는 그가 할레(Halle) 대학교에 다니던 때 받은 키에르 케고오르의 영향 때문에 인간이 단독으로 자기의 실존(實存)을 직면하여야 할 필요성과 영혼의 내면성을 강조하고 있다. 인간의 성숙은 자기 자신의 내적 용기와 비전을 통해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나는 누구냐?”하는 인간 실존의 근본 되는 물음은 그 물음을 던진 인간에 의해서만 답변될 수 있다는 것이다.
In part it is the chronology of Tillich’s life, spanning the two world wars, spanning the conflicts of science and religion, politics and ethics, authority and freedom in this century, that makes his analyses of the religious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our day so meaningful. One suspects, however, that neither his placement in the history of ideas nor even his intellectual genius would in themselves have provided the power which he has wielded in the thought of our time. One might explain it by saying again that he has remained always the student as well as the teacher. Tillich expresses it best perhaps in his "Autobiographical Reflections": "I have always walked up to a desk or pulpit with fear and trembling, but the contact with the audience gives me a pervasive sense of joy, the joy of a creative communion, of giving and taking, even if the audience is not vocal."1
 
 
틸리히가 살아온 역사적 시간은 20세기에 있어서 두 세계 대전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과학과 종교, 정치와 윤리, 권위와 자유 등의 갈등을 연결하는 때였다. 이 시간성이 종교적 상황이나 오늘의 문제들에 대한 그의 비판을 그토록 의미심장하게 만든 것이다. 그러나 사상사에 있어서 그의 위치나 지적(知的) 천재성 자체만으로는 현대 사상에 있어서 그가 과시한 위력을 준비할 수 없지 않았을까 한다. 이 사실은 그가 항시 배우는 학생이요 동시에 가르치는 선생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지적함으로써 해명될 수 있을 성싶다. 이것을 틸리히는 그의 ‘자서전적 소고’(Autobiographical Reflections)에서 가장 잘 표현한 것 같다. “나는 언제나 무서움과 떨림을 안고 교단과 강단에 서곤 하였다. 그러나 청중과 친교하는 동안에 나는 기쁨이 스며드는 것을 실감하는 것이다. 이 스며드는 기쁨이란, 비록 청중은 말이 없지만, 피차 주고 받는 창조적인 친교의 기쁨인 것이다.”(1)
 
1. "Autobiographical Reflections of Paul Tillich," in The Theology of Paul Tillich, Charles W. Kegley and Robert W. Bretall, eds. (New York: The Macmillan Co., 1961), p. 15.

이준원 2013-11-01 (금) 09:24 10년전
여기에 옮긴 글은 제 블로그에 실려있는 글입니다.
http://blog.naver.com/panem/70085579964

이 글을 실은 이유는 이것을 번역한 이계준님의 책이 이제는 절판되어서
구할 수가 없어서 처음에는 제가 조금 매끄럽게^^ 다시 번역해보고 싶었는데
시간적으로 여유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이계준님의 번역을 구하여
젊은이들에게 부탁하여 전문을 일단 타이핑을 하게 해서 실어놓은 것입니다.
다시 옮기다보니 오타가 너무 많군요.
젊은이들이 얼마나 귀찮았겠습니까 ^^ ㅠ
지적해주시는 대로 교정하고자 합니다.
이계준님께 양해를 구하오며
시간나는대로 좀 더 잘 편집해보고자 합니다만..
^^
양해와 이해를 구합니다.
주소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츲ҺڻȰ ⵵ ȸ ѱ⵶ȸȸȸ ()ظ ѽŴѵȸ μȸڿȸ ȸ б ѽŴб ûȸȸ ŵȸ ŵȸ ȸÿ ѱ⵶ȸȸͽ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