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
 
 
 

[기독교 교육신학](II) 출판소식

윤응진 (충북노회,한신대학교,목사) 2010-08-17 (화) 21:17 13년전 1777  

연구년(2009.9-2010.8) 동안 두문불출하고 몰두하였던 저서 집필이 완료되어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기본교재 총서>의 제3권으로 기획된 {기독교 교육신학}(II)이 마침내 완성된 것입니다.
이 책은 저 자신이 오랫동안 구상하던 것이기도 했습니다. 거의 40년의 신학공부, 20여년의 교수생활 동안 제가 배우고 가르치며 깨달은 내용들 가운데 <기독교 교육신학>과 관련된 부분을 총정리한 셈입니다.
학교경영을 맡아 4년간 학자의 길에서 벗어나 있었지만, 그래도 다시 순조롭게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된 것이 고맙기 그지없습니다. 그리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기회가 허락된 것도 감사한 일입니다.
저는 이 책을 집필하는 동안 행복과 기쁨의 시간을 누렸습니다. 그리고 책이 출판되어 학자로서 큰 보람을 느낍니다.
이제 이 책을 펴내게 되어, 제자들 앞에 웃는 얼굴로 다시 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읽는 사람마다 제가 학문의 길에서 느낀 행복과 기쁨에 동참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이 책의 제2부는 평신도들도 읽을 수 있도록 평이하게 서술하였습니다. 널리 소개하여 신앙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교회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양성에 뜻이 있는 교회에서는 이 책을 교사교육용 교재로 사용해도 좋겠습니다. 청년부에서는 이 책의 제2부를 세미나 교재로 삼아도 좋겠습니다.

* 출판사 연락처: 02-741-4046, 010-5275-4381
  보급-기독교문사 특판부: 02-741-5181


* 책의 목차를 소개합니다:
서론
제1장 오늘의 기독교교육적 실존
1. 기독교교육의 정치 ․ 사회적 기능과 과제
1) ‘오늘’의 상황은 기독교교육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2) 전통적 기독교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
3) 기독교교육은 왜 ‘오늘’에 관심하여야 하는가?
4) 기독교교육의 과제

2. 아우쉬비츠와 히로시마 이후의 기독교교육
1) 아우쉬비츠 이후
2) 히로시마 이후

3. 새 천년과 기독교교육의 과제


제I부 기독교교육학과 신학
제2장 역사적 개관1: 미국 기독교교육학 이론의 전개
1. 진보적 종교교육학파
1) 호레이스 부쉬넬의 '기독교적 양육'론
2) 조지 알버트 코우의 진보적 '종교교육'론

2. 기독교교육학파
1) 랜돌프 C. 밀러: '관계'론적 기독교교육론
2) 루이스 J. 쉐릴: '만남'과 '인격변화'의 기독교교육론
3) 제임스 D. 스마트: '말씀' 중심의 기독교교육론

3. 사회변혁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론
1) 데이드빗 헌터: 참여로서의 기독교교육론
2) 레티 M. 러셀: '선교교육론'
3) 토마스 그룸: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기독교교육론


제3장 역사적 개관2: 독일 기독교교육학 이론의 전개
1. 학문으로서 기독교 종교교육학의 탄생

2. 자유주의적 종교교육학

3. 변증법적 신학과 종교교육학의 전환
1) 변증법적 종교교육학
2) 교회교육으로서 종교교육

4.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종교교육론
1) 복음적 교육론
2) 해석학적 종교교육론

5. 사회변혁을 위한 실천학으로서 종교교육학
1) 문제지향적(주제중심의) 종교교육론
2) 치유적 종교교육론
3) 비판적 종교교육론


제4장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구조
1. 미국 기독교교육학 이론의 유형들과 학문적 구조
1) 기독교교육학의 접근 방식들
2) 기독교교육학과 신학의 관계

2. 독일 기독교교육학 이론의 유형들과 학문적 구조
1) 이론으로서 기독교교육학?
2) 교수학(Didaktik)으로서 기독교교육학?
3)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
4) 신학과 교육학 사이의 변증법적 종합으로서 기독교교육학


제5장 ‘신학하기’의 문제와 과제
1. “뒤틀려진 기독교”
1) ‘역사’에서 ‘철학’으로
2) 성공에 의한 왜곡
3) 통합에 대한 갈망
4) 기독교 복음에서 비롯된 왜곡 요인들

2. ‘신학하기’의 방향전환 요구들
1) 관심사와 시각의 전환요청
2) ‘교육 실천을 위한 신학’의 필요성
3) ‘비판적 신학’의 실마리


제6장 기독교교육의 내용으로서 신학
1. 기독교교육의 내용결정 문제
1) 교육내용의 체계 문제
2) 커리큘럼 이론에 따른 내용선택 기준
3) 교수학적 구조틀
4) 기독교교육의 내용들에 대한 정당화 논증

2.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관련된 신학적 주제들
1) 성서 신학의 핵심내용들
2) 교회사의 핵심내용들
3) 조직신학(교의학)의 핵심내용들


제II부 기독교교육학의 신학적 토대

제7장 이스라엘의 삶과 신앙
1. 이스라엘의 땅과 역사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

2. 팔레스틴의 지리적 환경

3. 이스라엘의 역사
1) 족장들의 역사(BC 2000-1800)
2) 출애굽(Exodus) 사건
3) 가나안 정착
4) 부족연합시대- 사사시대(BC 1200-1020년 경)
5) 왕국시대(1020-587)
6) 이스라엘 식민지 시대의 역사(BC 586-)


제8장 성서이해 및 교육의 방향
1. 성서의 침묵

2. 히브리 신앙전승의 재발견
1) 히브리 성서에 대한 평가절하
2) 히브리 성서의 침묵이 초래한 결과들
3) 기독교적 반유대주의 극복의 과제
4) 유배당한 이스라엘의 증언
5) 유대교와 기독교

3. 성서교육의 방향
1) 성서를 해방하라!
2) 유대인의 눈으로 성서를 보게 하라

4. 교수학적 숙고
1) 교육교재로서 성서
2) 해석학적 과제
3) 성서교육을 위한 인지발달의 ‘준비’에 대한 고려


제9장 출애굽의 하나님 야훼
1. 만들어진 신?

2. 출애굽의 하나님 야훼
1) 하나님의 이름 ‘야훼’
2) 출애굽의 하나님 야훼
3) 하나님인가? 우상인가?

3.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예수의 하나님’인가?
1) 종교개혁자들의 투쟁
2) 초월성인가? 내재성인가?
3)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 없이!

4. 하나님에 대한 신앙교육의 방향 모색
1) 기독교교육의 내용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
2) 바른 하나님 인식을 위한 교육
3) 교수학적 숙고


제10장 유대인 예수
1. “말씀이  ‘유대인의 육신’이 되었다.”
1) 역사적 예수?
2) ‘유대인 예수’의 재발견

2. 예수의 신앙과 그리스도 신앙
1) 예수의 죽음에 대한 해석
2) 그리스도 신앙
3) ‘예수의 신앙’에 참여하라!

3. 기독교교육의 주제로서 ‘예수 그리스도’


제11장 인간의 삶과 사명
1. 인간에 대한 기독교적 시각?

2. 예수가 이해한 인간의 삶과 죽음
1) 히브리인들의 표현 방식
2) 인간에 대한 표현들
3) 육체의 생명
4) 인간의 본질
5) 시간 안에 있는 인간
6) 관계 안에 있는 인간
7) 삶과 죽음

3. 인간의 사명과 교육적 과제들
1) 인간은 세계 안에서 ‘살아야만 한다.’
2) 인간을 사랑하라.
3) 생태계를 보전하라
4) 야훼 하나님을 찬양하라


제12장 하나님의 나라 운동
1. 삶의 한가운데로!

2. 예수가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
1) ‘하나님의 나라’ 선포의 의미
2) ‘하나님의 나라 대헌장’
3) “‘하나님의 나라’는 이와 같다”

3. ‘하나님의 나라 혁명’의 재발견
1)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하나님의 나라’
2) 종교사회주의와 바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혁명’ 이해
3) ‘하나님의 나라’에 관한 명제

4.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교육
1)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2)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교육적 사명
3)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교육의 방향 모색

5. 맺는 말 : ‘불편한 진실’을 받아들이는 용기


* 바로잡음: 꼼꼼히 교정을 보았으나 미처 살피지 못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p. 222, 2째줄: 창세기 11장 27~50절    ->창세기 11장 27절~50장
p. 361, 12째줄: 증인한다  -> 증언한다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츲ҺڻȰ ⵵ ȸ ѱ⵶ȸȸȸ ()ظ ѽŴѵȸ μȸڿȸ ȸ б ѽŴб ûȸȸ ŵȸ ŵȸ ȸÿ ѱ⵶ȸȸͽ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