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
 
 
 

진정한 광복(光復)을 누리자

김창환 (서울남노회,강서교회,목사) 2019-08-07 (수) 13:24 4년전 1900  
                    http://cafe.daum.net/thekingjesus/I1Nl/52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행복한 예수님의 사람들 칼럼 (521호) 진정한 광복(光復)을 누리자 (요 8:31-36)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그들이 대답하되 우리가 아브라함의 자손이라 남의 종이 된 적이 없거늘 어찌하여 우리가 자유롭 게 되리라 하느냐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 종은 영원히 집에 거하지 못하되 아들은 영원히 거하나니 그러므로 아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로우리라”(요 8:32-36). 국가는 주권, 영토, 국민의 3요소에 의하여 성립된다. 불행하게도 우리 민족은 36년간 일본의 무력으로 영토를 빼앗기고 주권을 강탈 당했었다. 말과 글과 신앙도 빼앗겼다. 여성들은 위안부로 끌려갔고 수많은 남성들 은 전쟁터로 끌려가 총알받이로 죽었다. 강제징용으로 끌려간 사람들은 사할린 등, 이름도 모르는 탄광으로 끌려가 일본의 잔인함과 악행으로 수모와 고통과 억울한 죽음을 당했었다. 1945년 8월 15일, 우리는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光復)이라는 말은 빼앗 긴 땅과 주권을 도로 찾았다는 뜻이다. 그런데 2019년 현재 우리는 진정한 광복을 누리고 있다고 보는가? 일본은 아직도 미련을 못 버리고 독도를 자기의 땅이라고 억지를 부리고 있으며, 한국을 경제적 속국으로 보고 수출규제라는 조치를 통해 한국의 산업을 마비시키려고 야비한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일부의 사람들이 아베에게 잘못했다고 대통령이 찾아가서 무릎을 꿇으라 는 막말을 하는 자가 있으니 통탄한 일이 아닌가? 진정한 광복을 누리려 면 우리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주권을 회복하자.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그들이 대답하되 우리가 아브라함의 자손이라 남의 종이 된 적이 없거늘 어찌하여 우리가 자유롭 게 되리라 하느냐”(요 8:32-33). 1) 신앙적으로는 사탄의 속박에서 벗어난 존재가 되었으니 스스로 사탄 에게 종노릇을 하지 말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건 하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갈 5:1). 2) 국내적으로는 일본에게 다시는 속박이 되지 않도록 하자. - NO BOYCOTT JAPAN 2. 영토를 회복하자. “종은 영원히 집에 거하지 못하되 아들은 영원히 거하나니 그러므로 아 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로우리라”(요 8:35-36). 1) 신앙적으로는 하나님의 나라를 회복하자. “그런즉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마 6:31). 2) 국내적으로 독도가 우리 땅임을 세계에 알리고 지도상 '일본해'의 명칭을 '동해'로 바꾸도록 하자. 일본이 우기는 ‘다케시마’ 와 ‘일본해’ 명칭을 다시는 언급조차 하지 못하도록 만들자. 3. 자주적인 국민임을 깨닫자.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 8:32). 1) 신앙적으로는 그리스도인으로 진리 안에서 자유를 누리자.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 이 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 라"(벧전 2:9). 2) 국내적으로 토착왜구들을 이 땅에서 살지 못하게 하자. 지금도 일본을 무조건 따르고 아부하는 자들을 이땅에서 몰아내자. 결론. 지금 우리는 영적으로는 사탄과의 싸움에서 이겨야 하며 국내적 으로는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드시 이겨야 할 것이다. 6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일대에서 중구청 관계자들이 태극기와 '노 재팬' 배너기를 설치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독도는 우리 땅"
    참여정부 시절엔 독도 문제가 대두됐다. 지난 2006년 4월 일본은 우리측 동해 배타적경제수역(EEZ) 수로 탐사 를 추진했다. 일본은 1년여 전인 2005년부터 2월22일을 '다케시마(독도) 의 날'로 지정하는 등 도발 수위를 높여왔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한일관계특별담화문'을 직접 낭독하며 강력한 대일 메세지를 던졌다. 노 대통령은 담화 첫 머리에서 "독도는 우리 땅 이다. 그냥 우리 땅이 아니라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우리 땅"이라 고 선언했다. 그는 러일전쟁부터 한일의정서 강제체결, 일제에 의한 외교권 박탈 및 국권 피탈 등 역사적 사실 관계를 하나하나 열거하며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박했다. 노 대통령은 "일본이 독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한국의 완전한 해방과 독립을 부정하는 행위"라며 "과거 일본이 저지른 침략전쟁과 학살, 강제징용, 심지어 위안부까지 동원했던 범죄의 역사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하는 행위"라고 규탄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무대응'으로 일관했던 과거 전략을 '능동적 대응'으로 수정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그는 "정부는 독도문제에 대한 대응방침을 전면 재검토하겠다. 자주독립의 역사와 주권 수호 차원에서 정면으로 다루겠다"며 "물리적인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세계 여론과 일본 국민에게 일본 정부의 부당한 처사 를 끊임없이 고발하고 일본 정부가 잘못을 바로잡을 때까지 국가적 역량과 외교적 자원을 모두 동원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어떤 비용과 희생이 따르더라도 결코 포기하거나 타협할 수 없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실제 일본의 도발에 대한 물리적 대응도 지시한 것 으로 알려졌다. 참여정부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노무현 재단에 올린 글을 통해 "지난 2006년 독도 문제가 불거지자 노 대통령은 일본 탐사선이 독도에 오면 '당파', 즉 배로 밀어 부숴라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당시 긴박하게 치닫던 한일 갈등은 외교차관 회담을 통해 극적 으로 해소됐다 . 독도 전경./사진=외교부 홈페이지 캡처
    "동해"(東海), 한반도와 일본 열도, 연해주 및 사할린 섬에 둘러싸인 바다는 그 호칭 및 명명(命名)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이 바다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일본, 러시아 등 4개국의 주권과 관할권이 미치는 해역으로, 이들 연안국의 영해와 배타적 경제 수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동해"(東海),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동해"(朝鮮東海), 일본에서는 "니혼카이"(日本海にほんかい), 러시아에서는 "야폰스코예 모레"(Японское море, 일본해)로 부르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양측의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이 분쟁은 양측이 국내에서 사용하는 명칭에 관한 것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명칭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동해가 역사적으로 '동양해(Oriental Sea)' 또는 '한국해(Sea of Korea)'로 불려 왔으므로 '동해(East Sea)'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일본은 '일본해(Sea of Japan)'가 19세기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된 이름이며 이를 그대로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동해(East Sea of Korea)'로 표기하기를 주장한다. 이 해역이 일본해로 굳어진 계기는 1929년 국제 수로 기구(IHO)의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제1판에서 국제수로기구 창립 회원국이었던 일본의 주장에 따라 일본해로 표기하면 서부터이다. 당시 한국은 일본에 국권을 피탈 당한 상태였다. 가장 최근에 나온 『해양과 바다의 경계』는 1953년 발간된 제3판이며, 여기에도 일본 해로 단독 표기되어 있다.[1] 한국은 1957년 국제수로기구에 가입하였고, 1992년부터 일본해 명칭에 이의를 제기했다. 1974년 국제수로기구는 특정 바다의 인접국 간에 명칭 합의가 없는 경우, 당사국 모두의 명칭을 병기하 도록 하는 기술적인 권고를 하였으나, 일본은 이것은 만이나 해협 등을 대상 으로 한 것이지 동해와 같은 공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국은 1991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유엔 동시 가입한 후인 1992년 제6차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UNCSGN)에서 최초로 동해의 국제적 통용 명칭인 'Sea of Japan'에 대하여 정부 차원에서 국제사회에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하여 명칭 시정을 공식 요구했다. 이후 유엔의 관련 회의와 국제수로기구 회의 등 국제회의에서 이 문제를 재차 제기하고 있다. 1998년의 제7차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에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 한 목소리로 일본에 공동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고, 일본은 이 문제를 쟁점화하는 것을 꺼려, 대한민국 측의 협상 요구를 번번이 거절 하였다. 2002년 제8차 유엔지명표준화회의에서는 남한과 북한 대표단이 과도기적 조치로서 일본해와 동해(북한은 조선동해)의 명칭 병기를 요구 했으나, 일본은 이를 일축하며 한국 측 요구를 저지하기 위한 치열한 로비 를 벌여 자국의 입장을 관철시켰다. 현재 국제 수로 기구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 제4판을 발간 준비 중이다. 2002년 총회에서 대한민국은 동해 명칭 문제를 의제 상정하려고 시도하였 으나 일본의 로비로 무산되었고, 2007년 총회에서는 총회 의장에 의해 동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우선 발간이 제안되었다. 2012년 총회에서도 동해와 일본해의 병기 문제는 끝내 결정되지 못하였으며, 이 논제는 2017년 총회로 다시 연기되었다.[2] 다만 2012년 총회에서 일본해 단독 표기 방안은 일본을 제외한 어떠한 회원국의 찬성표도 받아내지 못했다.[2][3] 2017년 4월 모나코 IHO 본부에서 열린 총회에선 《해양과 바다의 경계》를 개정해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하자는 한국측의 요구가 받아들여졌다. 사무국이 참여 하는 가운데 일본이 개정을 요구하는 한국과 북한 등 관련국과 협의를 하고 그 결과를 사무국이 정리해 3년 뒤인 2020년 총회에 보고한다는 방침이 결정 됐다. 2018년 가을, 일본의 비협조적인 태도에 IHO 사무국이 ‘협의에 응하지 않으면 개정이 아니라 아예 폐기도 검토하겠다‘는 강력한 입장을 전달했다. 이에 2019년 1월 18일 오후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정례브리핑에서 "IHO의 책임 있는 멤버로서 비공식협의에 건설적으로 공헌해 나가겠다"면서도 "'일본해' 표기가 세계적으로 확립된 유일한 호칭으로, 그것을 변경할 필요성도 근거도 없다고 여러 기회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고 발언했다.[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주 14,000 여명의 회원님들에게 한번씩 보내는 칼럼입니다. 서울 강서교회 김창환 목사(문지기) 드림 양천구 신정로 11길 63 강서교회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츲ҺڻȰ ⵵ ȸ ѱ⵶ȸȸȸ ()ظ ѽŴѵȸ μȸڿȸ ȸ б ѽŴб ûȸȸ ŵȸ ŵȸ ȸÿ ѱ⵶ȸȸͽ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