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묵상

커뮤니티   >   오늘의 묵상
2025년 10월 31일 (금) 일점일획_Ἰσραήλ(이스라엘)에 대하여(김범식)(IBP)
2025-10-30 22:06:23
묵상 관리자
조회수   66

Ἰσραήλ(이스라엘)에 대하여

(김범식)

 

신약성경에 Ἰσραήλ(이스라엘)이라는 단어가 68번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당연히 구약성경의 야곱이라는 조상이 하나님의 축복 속에 가지게 된 이름, 이스라엘(יִשְׂרָאֵל)이다(창 32:29). 조상 야곱이 얻게 된 이름 이스라엘이 창세기에서 34번 사용된 야곱이라는 이름보다 75번 더 많이 사용된 것을 보면, 이스라엘 백성, 혹은 이스라엘 자손이라는 역사적 존재를 염두에 둔 창세기 저자의 의도가 분명히 있다. 이스라엘의 아들들, 혹은 자손들이라는 표현(브네이 이스라엘, בְּנֵי יִשְׂרָאֵל )이 맛소라 텍스트에 637번 나오며, 헬라어 번역성경 70인경을 거쳐서 신약성경으로 이 용어가 보존된 것을 보게 된다(눅 1:16; 행 5ㅣ21; 7:239:15; 롬 9:27; 고후 3:7; 히 11:22; 계 2:14; 7:4; 21:12).

Ἰσραήλ(이스라엘)은 신약성경에서 야곱의 개인적 이름을 뜻하기보다는 대부분 집단적 인종적 종교적 유기체적 공동체를 뜻하는 의미(백성, 자손, 공동체)로 사용되었다.  또한 이스라엘이라는 민족공동체를 ‘이스라엘 집’(house of Israel)이라고 부르는 맛소라 텍스트의 전통은 신약성경에도 이어졌다(마 10:6; 15:24; 행 2:36; 7:42; 히 8:8). 한 조상 야곱(이스라엘)으로부터 태어난 존재로 ‘집’(가정)이라 호칭하고 있다.

공관복음서에서 Ἰσραήλ(이스라엘)이라는 용어는 복음서 저자마다 자신의 신학적 목적에서 조금씩 다르게 사용한다. 특별히 마태복음은 누가복음과 같이 각각 15번 사용하고 있는데, 이스라엘 땅에 나타난 메시아로서 이스라엘의 왕이 된 예수를 강조하고 있다(마 2:21). 이스라엘에서 보지 못한 백부장의 믿음(마 8:10), 이스라엘에서 처음 보는 치유역사(마 9:33),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떼를 찾는 메시아(마 10:6; 15:24), 예수의 치유사역을 보고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사람들(마 15:31)을 증언하며, 마태복음은 ‘이스라엘’이라는 용어를 다른 복음서 저자들보다 더 특별하게 사용한다. 이것은 마태복음이 예수가 다윗의 자손 이스라엘의 왕으로 이스라엘 땅에 소망과 위로로 왔고, 그의 백성 이스라엘이 가지게 된 치유와 구원의 메시아 사역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Ἰσραήλ(이스라엘)을 단순히 유대교적 이스라엘 백성을 가리키지 않고, 이스라엘을 이방인을 포함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확대되어가는 선교적 확장에서 지칭하고 있다. 이스라엘 땅의 과부가 아니라 이방인 과부를 도운 선지자 엘리야(눅 4:25), 이스라엘 땅의 나병환자가 아니라 이방인 나아만 장군을 치유한 엘리사(눅 4:27), 이스라엘 중에서 보지 못한 이방인 백부장의 믿음(눅 7:9), 이스라엘의 회복의 때를 묻는 제자들에게 때와 시기를 아버지의 권한에 있다는 예수의 선포(행 1:7)는 이스라엘 땅과 백성을 넘어서서 이방인들이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선교적 확장을 보여준다. 누가복음-사도행전을 쓴 이방인 저자는 70인경을 통해 헤브라이즘적 이스라엘을 지칭하기보다는 헬라파 유대인들이 가교역할을 하며 이스라엘 땅으로부터 디아스포라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을 포함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을 비전으로 제시한다.

요한복음에서는 용어 Ἰσραήλ(이스라엘)이 4번 사용되었는데, 긍정적 의미로서 사용되었다(요 1:31, 49; 3:10; 12:13). 요한복음은 유대교 지도자들과 따르는 백성들을 유대인들(Ἰουδαῖοι)이라고 특정하여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이미 유대교와 기독교의 분리가 회당출교(아포수나고고스, ἀποσυνάγωγος 요 9:22; 12:42; 16:2)를 통하여 일어나고 있고, 상대적으로 유대교인으로서의 유대인들을 예수 사역의 대적자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복음 저자는 이스라엘에 담긴 긍정적 기대를 가진 기독교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바울은 용어 Ἰσραήλ(이스라엘)을 17번 사용하는데, 그 중에 로마서 9-11장에서 11번을 사용할 정도로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변증한다. 로마서 8장까지 부정적으로 사용한 ‘유대인’ (Ἰουδαῖος)이라는 용어보다는 하나님의 선택과 특권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구원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을 로마서 9-11장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바울은 혈통적 이스라엘 백성을 넘어서 하나님의 구원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이 폐하여진 것 같지 않도다. 이스라엘에게서 난 그들이 다 이스라엘이 아니요”(롬 9:6)

“무릇 이 규례를 행하는 자에게와 하나님의 이스라엘에게 평강과 긍휼이 있을지어다”(갈 6:16)

 

혈통을 따라 난 이스라엘 백성이 불순종하고 거역하는 백성들(유대교인)이 되었지만, 이제 복음의 은혜를 따라 진정한 하나님의 백성, 즉 교회가 된 백성을 참 이스라엘이라 부르고 있는 것이다. 유대인이나 이방인, 혹은 남자와 여자, 종이나 자유인이나 차별이 없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구원의 약속을 유업으로 받는 사람들이 아브라함의 참 자손, 곧 이스라엘이다(갈 3:29).

https://ibp.or.kr/wordspostachio/?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68096723&t=board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홈페이지 개편에 따른 [오늘의 묵상] 게시판 이용을 안내드립니다. 관리자 2025-09-08 304
2992 2025년 11월 4일(화) - 로중-‘나는 나의 중보자가 하늘에 계심을 안다!’_이주형목사 묵상 관리자 2025-11-03 14
2991 2025년 11월 3(월) - 빌레로부터 온 이야기-살아남은 절반의 이유_윤태현 목사    묵상 관리자 2025-11-02 63
2990 2025년 11월 2일 (주일) 말씀과삶(사개오야, 어서 내려오너라), 84장 온 세상이 캄캄하여서    묵상 관리자 2025-11-01 76
2989 2025년 11월 1일 (토) 사진그림묵상_동백과 동박새-김민수 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31 94
2988 2025년 10월 31일 (금) 일점일획_Ἰσραήλ(이스라엘)에 대하여(김범식)(IBP) 묵상 관리자 2025-10-30 66
2987 2025년 10월 30(목) - 하늘씨앗향기_고린도전서14:9 허공에다 말하기!(김옥성 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9 98
2986 2025년 10월 29일 (수) 십자가 묵상 -개혁의 십자가1(김홍한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8 130
2985 2025년 10월 28일(화) - 로중_‘주님은 우리의 먹을거리를 책임져 주시는 분이시다!’_이주형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7 133
2984 2025년 10월 27(월) - 빌레로부터 온 이야기-'익어감의 자리에서 배우는 은혜'_윤태현 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6 184
2983 2025년 10월 26일 (주일) 말씀과삶(자기 자신을 향한 기도, 하나님에게 드리는 기도), 280장 천부여 의지 없어서    묵상 관리자 2025-10-25 205
2982 2025년 10월 25일 (토) 사진그림묵상_용눈이오름에서-김민수 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4 191
2981 2025년 10월 24일 (금) 일점일획_‘바알스본’에 관한 묵상(IBP) 묵상 관리자 2025-10-23 192
2980 2025년 10월 23일(목) - 하늘씨앗향기_덕을 세우는 말!(김옥성 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2 187
2979 2025년 10월 22일 (수) 십자가 묵상 -길 위의 십자가5(김홍한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2 211
2978 2025년 10월 21일(화) - 로중_‘하나님의 통치 아래 온 세상은 형제자매의 나라가 되리라!’_이주형목사 묵상 관리자 2025-10-20 176
1 2 3 4 5 6 7 8 9 10 ... 200